작성일: 2025. 8. 12. 오후 3:56:35
쓰레기 배출 요일 및 분리배출 꿀팁
쓰레기 배출은 단순한 청소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.
올바른 요일과 방법을 지키면 환경보호와 생활 편리성을 동시에 챙길 수 있습니다.
지역별 쓰레기 배출 요일제 이해하기
대부분 자치구에서는 요일제를 운영합니다.
종로구는 월·수·금 지역과 화·목·토 지역으로 구분하며, 주택가와 이면도로는 저녁 7시~9시만 배출 가능합니다.
일반쓰레기는 주 3회, 재활용품은 주 2회, 음식물쓰레기는 매일 혹은 격일 수거하는 곳이 많습니다.
구분 | 일반쓰레기 | 재활용품 | 음식물쓰레기 |
---|---|---|---|
종로구 | 19:00-21:00 (주 3회) | 19:00-21:00 (주 2회) | 18:00-익일 06:00 (매일) |
영등포구 | 20:00-22:00 (주 3회) | 20:00-22:00 (주 2회) | 19:00-익일 06:00 (매일) |
서초구 | 19:00-21:00 (주 3회) | 19:00-21:00 (주 2회) | 18:00-익일 06:00 (매일) |
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핵심 포인트
2021년부터 무색투명 페트병은 별도로 분리배출해야 합니다.
배출 절차:
- 내용물 완전히 비우기
- 물로 헹구기
- 라벨·뚜껑 제거
- 원형 그대로 배출
단계 | 설명 | 주의사항 |
---|---|---|
1단계 | 내용물 비우기 | 음료, 이물질 제거 |
2단계 | 물로 헹구기 | 이물질 최소화 |
3단계 | 라벨·뚜껑 제거 | 재활용 품질 향상 |
4단계 | 원형 유지 | 찌그러뜨리지 않기 |
300세대 이상 공동주택은 전용 배출함 설치가 의무이며, 없을 경우 관리사무소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.
음식물쓰레기 처리 요령
음식물쓰레기는 악취와 벌레의 원인이 되므로 물기를 제거 후 배출합니다.
효율적인 처리 방법
- 물기 제거 후 배출
- 수거 전일 저녁 6시~수거일 오전 6시 배출
- 가정용 처리기 사용 시 80% 감량 가능
방식 | 장점 | 단점 |
---|---|---|
일반 배출 | 간편, 비용 無 | 악취, 벌레 발생 가능 |
가정용 처리기 | 양·악취 감소, CO₂ 감축 | 초기 구매비용 발생 |
지자체 수거 | 정기적 처리 가능 | 배출 시간 제한 |
대형폐기물 신고와 종량제봉투 활용
대형폐기물은 반드시 사전 신고 후 배출해야 하며, 수수료 납부와 스티커 부착이 필수입니다.
신고 절차
- 자치구 인터넷 또는 전화 접수
- 수수료 납부
- 배출 스티커 부착
- 지정일 배출
단계 | 내용 |
---|---|
1단계 | 인터넷/전화 접수 |
2단계 | 수수료 납부 |
3단계 | 스티커 부착 |
4단계 | 지정일 배출 |
종량제봉투는 규격에 맞춰 사용하고, 남은 봉투는 잘라 일반 봉투로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.
재활용품은 종량제봉투에 넣지 말고 반드시 별도 배출하세요.
생활 속 분리배출 습관 만들기
- 싱크대·베란다에 품목별 수거함 배치
- 각 수거함에 라벨 부착
- 색상 구분으로 아이 교육 효과
- 배출 요일 휴대폰 알람 설정
- 전날 저녁 현관 앞에 준비
마무리
쓰레기 배출과 분리배출은 작은 습관의 차이가 큽니다.
정해진 요일과 규칙을 지키면 환경도 지키고, 쾌적한 생활환경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#쓰레기배출#분리배출#재활용#음식물쓰레기#종량제봉투#대형폐기물#투명페트병#생활꿀팁#환경보호#주거생활